반응형
🔎 개요
우리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에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을 뽑아 한국형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을 시작했어요.
이 프로젝트는 단순히 글만 쓰는 AI가 아니라,
영상·소리·그림·말을 모두 이해하는 똑똑한 AI(멀티모달 AI) 를 만들고,
한국만의 데이터와 기술로 “자립형 AI(소버린 AI)” 를 키우는 게 목표예요.
정부는 이 기업들에게 데이터·GPU(고성능 컴퓨터) ·연구비를 지원해요.
각 회사는 서로 다른 분야를 맡아,
한국 AI 생태계(=AI 산업의 전체 구조) 를 함께 만드는 중이에요.
🏢 AI 5대 기업 한눈에 보기
회사 연구 주제 중심 기술 목표
🟢 네이버클라우드 |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 텍스트·음성·영상 모두 이해하는 멀티모달 AI | 모든 국민이 쉽게 AI를 쓰게 만들기 |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형 LLM | 분야별로 작고 빠른 언어 AI | 중소기업도 쓰기 쉬운 AI 만들기 |
🔵 SK텔레콤 | 풀스택 옴니모달 AI | 통신·로봇 등 인프라와 연결된 AI | 통신망과 산업 전반에 AI 적용 |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감정을 읽고 표현하는 AI | 게임·엔터테인먼트용 창의형 AI |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제조·금융·서비스 연결 AI | 산업 전체에 AI를 녹여 혁신하기 |
💡 각 회사의 핵심 연구 내용
🟢 네이버클라우드 — “모든 걸 이해하는 AI”
- 무엇을 만드나?
글, 말, 사진, 영상까지 모두 이해하는 ‘옴니 AI’ - 왜 중요할까?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AI를 쓰도록 ‘국민형 AI 서비스’ 구축 - 어떻게 하나요?
오픈소스로 공개해서 누구나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소버린 AI’ 를 목표로 해요.
🧩 용어풀이
- 멀티모달: 여러 종류의 정보를 한꺼번에 이해하는 AI
- 소버린 AI: 우리나라가 스스로 만든 AI, 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음
- 오픈소스: 누구나 볼 수 있고, 고칠 수 있고, 함께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 업스테이지 — “작고 똑똑한 산업용 AI”
- 무엇을 만드나?
산업마다 다르게 쓸 수 있는 작고 효율적인 언어 AI - 왜 중요할까?
중소기업이나 공공기관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 어떻게 하나요?
기존 모델 ‘SOLAR’를 더 발전시켜 한국형 LLM을 만들고,
오픈소스로 공유해 더 많은 기업이 쓸 수 있게 해요.
🧩 용어풀이
- LLM: 많은 글을 배우고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내는 거대한 언어 모델
- 도메인 특화 모델: 산업별로 맞춤형으로 만든 AI
🔵 SK텔레콤 — “AI의 모든 기술을 한 몸에”
- 무엇을 만드나?
언어, 음성, 이미지, 로봇까지 연결된 통합형 AI - 왜 중요할까?
통신, 로봇,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쓸 수 있어요. - 어떻게 하나요?
자회사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풀스택(기초부터 응용까지 전부 연결된) AI 생태계를 만들어요.
🧩 용어풀이
- 풀스택 AI: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AI의 모든 구조를 통합한 시스템
- AI 스택: 여러 기술이 층층이 쌓여 작동하는 구조
🔴 NC AI — “감정을 이해하는 창의적인 AI”
- 무엇을 만드나?
사람의 표정, 목소리, 말투를 보고 감정을 파악하는 감정형 AI - 왜 중요할까?
게임·영상·음악처럼 감정 표현이 중요한 콘텐츠 분야에 꼭 필요해요. - 어떻게 하나요?
AI 모델 ‘바르코 비전 2.0’을 중심으로
엔터테인먼트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어요.
🧩 용어풀이
- 파운데이션 모델: 아주 많은 데이터를 배워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AI의 ‘기초 뼈대’ 모델
🟣 LG AI연구원 — “산업 전체를 잇는 AI”
- 무엇을 만드나?
공장,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을 하나로 연결하는 산업융합형 AI - 왜 중요할까?
회사들이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더 빠르게 혁신하도록 돕기 때문이에요. - 어떻게 하나요?
LG그룹 계열사들이 함께 참여해
모든 사업에 AI를 자연스럽게 녹이는 것(AI 내재화) 이 목표예요.
🧩 용어풀이
- AI 내재화: 기존 일이나 제품 안에 AI 기능을 넣어 더 편리하게 만드는 것
📘 용어 한눈 정리
용어 | 뜻 |
멀티모달 | 글, 소리,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함께 이해하는 기술 |
소버린 AI | 우리나라가 직접 데이터와 기술로 만든 독립형 AI |
오픈소스 | 모두가 함께 보고, 고치고, 쓸 수 있는 프로그램 |
LLM | 글을 이해하고 새로 써내는 초거대 언어 AI |
풀스택 AI | 반도체부터 서비스까지 AI 전 과정을 하나로 잇는 구조 |
AI 파운데이션 모델 | 여러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AI의 기본 모델 |
AI 내재화 | 기존 산업에 AI를 자연스럽게 포함시켜 혁신하는 과정 |
🧭 핵심 요약
🇰🇷 한국은 지금, ‘우리 기술로 만든 AI 시대’ 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5개 기업은 각각 다른 역할을 맡고 있어요:
기업 | 역할 |
네이버클라우드 | 국민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 |
업스테이지 | 산업별로 활용 가능한 작고 빠른 AI |
SK텔레콤 | 통신과 산업을 연결하는 풀스택 AI |
NC AI | 감정을 표현하고 느끼는 창의형 AI |
LG AI연구원 | 산업 전반에 AI를 녹여내는 융합형 AI |
💬 이 다섯 가지 AI가 합쳐지면,
한국은 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만의 실용적이고 똑똑한 AI 생태계를 완성할 수 있을 거예요.
반응형
'정보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업스테이지·SKT·NC·LG — 한국을 움직일 5대 AI의 기술 언어 (0) | 2025.10.14 |
---|---|
⚙️ ChatGPT보다 실무형 AI, 젠스파크: 직무별 활용법과 핵심 기능 총정리 (0) | 2025.10.14 |
⚙️ 젠스파크 vs 퍼플렉시티 vs ChatGPT — 최신 비교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