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PPT

디자인과 지식으로, 세상을 밝히는 진보적 팀

대광PPT 자세히보기

정보/AI

네이버·업스테이지·SKT·NC·LG — 한국을 움직일 5대 AI의 기술 언어

비주얼지식인인 2025. 10. 14. 10:21
반응형

🧠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시대를 여는 5대 AI 리더의 전략과 전문 영역”


🔎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을 선정하여
한국형 초거대 AI(소버린 AI)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화했습니다.

이 사업은 단순 언어모델이 아니라
멀티모달·산업융합·에이전트형 AI 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는 GPU 인프라·공공데이터·연구비를 지원하고,
각 컨소시엄은 차별화된 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핵심주제 주관 초점
네이버클라우드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네이버 멀티모달·국민 서비스형
업스테이지 산업 특화 경량형 LLM 업스테이지 산업별 경량화 모델
SK텔레콤 풀스택 옴니모달 AI SKT 통신·인프라 기반
NC AI 감정형 창의 AI NC소프트 감정·엔터테인먼트형
LG AI연구원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LG 산업·제조 융합형

💡 각 회사별 핵심 주제


🟢 네이버클라우드 –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 핵심 주제: 범국민 AI 접근성을 위한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특징: 텍스트, 음성,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멀티모달)를 통합적으로 처리
  • 추진 방향: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운영, 오픈소스 공개, 소버린 AI 지향

용어 정리 :

  • 멀티모달: 텍스트·음성·이미지·영상 등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을 동시에 다루는 AI 기술
  • 소버린 AI: 외국에 의존하지 않고 자국에서 직접 데이터·모델·인프라를 구축해 관리하는 자주적 AI.
    언어·문화·제도까지 반영하여 국가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 오픈소스: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수정·배포할 수 있도록 공개된 소프트웨어
  •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데이터를 미리 학습해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는 기초 범용 모델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형 LLM

  • 핵심 주제: 산업별 맞춤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LLM) 개발
  • 특징: 산업·공공 데이터 기반 전문 특화형 모델 개발
  • 추진 방향: 경량 모델·오픈소스 생태계 강화, 중소기업용 LLM 확산

용어 정리 :

  • LLM(Large Language Model):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문장을 이해·생성할 수 있는 거대 언어모델
  •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특정 산업(의료, 금융, 법률 등)에 최적화된 언어 AI

🔵 SK텔레콤 – 풀스택 옴니모달 AI

  • 핵심 주제: ‘풀스택 AI 생태계’ 구축 및 인프라 중심 AI 확장
  • 특징: 언어·음성·비전 통합형 모델 개발, AI 반도체·GPU 등 인프라 확보
  • 추진 방향: 통신·로보틱스·모빌리티 등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인프라형 AI 스택 구축

용어 정리 :

  • 풀스택 AI 생태계: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응용 서비스까지 전 구성요소를 아우르는 통합 개발 체계
  • 인프라형 AI 스택: 데이터센터·반도체·서버 등 기반시설과 AI 소프트웨어를 계층적으로 연결한 구조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핵심 주제: 감정 및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몰입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특징: 언어·음성·영상 기반 감정 인식 및 합성 기술 중심, 게임·엔터 산업 확장
  • 추진 방향: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AI 시장 선도

용어 정리 :

  •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범용 인공지능 모델로,
    감정·창의성 등 인간적 요소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모델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핵심 주제: 산업 융합형 대규모 멀티모달 AI 개발
  • 특징: 제조·금융·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 동시에 적용
  • 추진 방향: 그룹 전체에 AI 내재화, 글로벌 시장 수출 모델 정립

용어 정리 :

  • AI 내재화: 기존 산업·제품·서비스에 AI를 자연스럽게 녹여, 업무 혁신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

📘 용어 요약 정리

용어 의미

멀티모달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
소버린 AI 자국 데이터와 인프라를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국가 자주형 AI’
오픈소스 누구나 접근·수정·배포할 수 있는 공개형 개발 방식
LLM (Large Language Model) 대규모 텍스트로 학습한 초거대 언어모델
도메인 특화 모델 특정 산업이나 주제에 특화된 맞춤형 언어모델
풀스택 AI 생태계 반도체~플랫폼~서비스까지 AI의 전 계층을 통합한 구조
인프라형 AI 스택 하드웨어 인프라와 AI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시스템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데이터로 미리 학습된 범용 인공지능의 기초 모델
AI 내재화 기존 산업 시스템에 AI를 자연스럽게 포함해 혁신을 이루는 과정

🧠 핵심 요약

🇰🇷 한국은 이제 “소버린 AI” 단계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5개 정예팀은 각기 다른 기술 전문 영역을 맡아
멀티모달·산업융합·감정형·경량형·풀스택형 AI
한국형 AI 생태계의 다섯 축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네이버클라우드 → 국민형 멀티모달 AI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 LLM
  • SK텔레콤 → 통신 인프라형 풀스택 AI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이 다섯 축이 합쳐져야만
한국이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독립적이면서도 실용적인 AI 생태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