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시대를 여는 5대 AI 리더의 전략과 전문 영역”
🔎 개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국가대표 AI 정예팀’ 5곳을 선정하여
한국형 초거대 AI(소버린 AI)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화했습니다.
이 사업은 단순 언어모델이 아니라
멀티모달·산업융합·에이전트형 AI 모델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는 GPU 인프라·공공데이터·연구비를 지원하고,
각 컨소시엄은 차별화된 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AI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팀 | 핵심주제 | 주관 | 초점 |
네이버클라우드 |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 네이버 | 멀티모달·국민 서비스형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형 LLM | 업스테이지 | 산업별 경량화 모델 |
SK텔레콤 | 풀스택 옴니모달 AI | SKT | 통신·인프라 기반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NC소프트 | 감정·엔터테인먼트형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LG | 산업·제조 융합형 |
💡 각 회사별 핵심 주제
🟢 네이버클라우드 –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 핵심 주제: 범국민 AI 접근성을 위한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특징: 텍스트, 음성,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멀티모달)를 통합적으로 처리
- 추진 방향: AI 에이전트 마켓플레이스 운영, 오픈소스 공개, 소버린 AI 지향
용어 정리 :
- 멀티모달: 텍스트·음성·이미지·영상 등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을 동시에 다루는 AI 기술
- 소버린 AI: 외국에 의존하지 않고 자국에서 직접 데이터·모델·인프라를 구축해 관리하는 자주적 AI.
언어·문화·제도까지 반영하여 국가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 오픈소스: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수정·배포할 수 있도록 공개된 소프트웨어
-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데이터를 미리 학습해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는 기초 범용 모델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형 LLM
- 핵심 주제: 산업별 맞춤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LLM) 개발
- 특징: 산업·공공 데이터 기반 전문 특화형 모델 개발
- 추진 방향: 경량 모델·오픈소스 생태계 강화, 중소기업용 LLM 확산
용어 정리 :
- LLM(Large Language Model):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해 문장을 이해·생성할 수 있는 거대 언어모델
-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특정 산업(의료, 금융, 법률 등)에 최적화된 언어 AI
🔵 SK텔레콤 – 풀스택 옴니모달 AI
- 핵심 주제: ‘풀스택 AI 생태계’ 구축 및 인프라 중심 AI 확장
- 특징: 언어·음성·비전 통합형 모델 개발, AI 반도체·GPU 등 인프라 확보
- 추진 방향: 통신·로보틱스·모빌리티 등 산업 전반에 적용 가능한 인프라형 AI 스택 구축
용어 정리 :
- 풀스택 AI 생태계: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응용 서비스까지 전 구성요소를 아우르는 통합 개발 체계
- 인프라형 AI 스택: 데이터센터·반도체·서버 등 기반시설과 AI 소프트웨어를 계층적으로 연결한 구조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핵심 주제: 감정 및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몰입형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 특징: 언어·음성·영상 기반 감정 인식 및 합성 기술 중심, 게임·엔터 산업 확장
- 추진 방향: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AI 시장 선도
용어 정리 :
-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범용 인공지능 모델로,
감정·창의성 등 인간적 요소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차세대 모델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핵심 주제: 산업 융합형 대규모 멀티모달 AI 개발
- 특징: 제조·금융·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 동시에 적용
- 추진 방향: 그룹 전체에 AI 내재화, 글로벌 시장 수출 모델 정립
용어 정리 :
- AI 내재화: 기존 산업·제품·서비스에 AI를 자연스럽게 녹여, 업무 혁신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
📘 용어 요약 정리
용어 의미
멀티모달 | 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 |
소버린 AI | 자국 데이터와 인프라를 기반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국가 자주형 AI’ |
오픈소스 | 누구나 접근·수정·배포할 수 있는 공개형 개발 방식 |
LLM (Large Language Model) | 대규모 텍스트로 학습한 초거대 언어모델 |
도메인 특화 모델 | 특정 산업이나 주제에 특화된 맞춤형 언어모델 |
풀스택 AI 생태계 | 반도체~플랫폼~서비스까지 AI의 전 계층을 통합한 구조 |
인프라형 AI 스택 | 하드웨어 인프라와 AI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시스템 |
AI 파운데이션 모델 | 대규모 데이터로 미리 학습된 범용 인공지능의 기초 모델 |
AI 내재화 | 기존 산업 시스템에 AI를 자연스럽게 포함해 혁신을 이루는 과정 |
🧠 핵심 요약
🇰🇷 한국은 이제 “소버린 AI” 단계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5개 정예팀은 각기 다른 기술 전문 영역을 맡아
멀티모달·산업융합·감정형·경량형·풀스택형 AI 등
한국형 AI 생태계의 다섯 축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네이버클라우드 → 국민형 멀티모달 AI
- 업스테이지 → 산업 특화 경량 LLM
- SK텔레콤 → 통신 인프라형 풀스택 AI
- NC AI → 감정형 창의 AI
- LG AI연구원 → 산업융합 멀티모달 AI
💬 이 다섯 축이 합쳐져야만
한국이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독립적이면서도 실용적인 AI 생태계”**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정보 >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한국을 대표하는 AI 기업 5곳 — “우리만의 인공지능 만들기” (0) | 2025.10.14 |
---|---|
⚙️ ChatGPT보다 실무형 AI, 젠스파크: 직무별 활용법과 핵심 기능 총정리 (0) | 2025.10.14 |
⚙️ 젠스파크 vs 퍼플렉시티 vs ChatGPT — 최신 비교 (0)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