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PPT

디자인과 지식으로, 세상을 밝히는 진보적 팀

대광PPT 자세히보기

정보/디자인

디자인사조 총정리 — 이집트에서 메타버스·AI 아트까지 5000년 예술의 변천사

비주얼지식인인 2025. 10. 14. 11:32
반응형

 


1. 고대~중세 전통

 

 

1) 이집트 미술
① c. BC 3000–30, 나일강 문명
② 영속성·장례 중심; 정면성 규칙; 위계적 비례; 카논 그리드; 상형문자 결합; 경직 포즈; 석재·금박
③ 기자 피라미드 부조, 네페르티티 흉상, 투탕카멘 황금마스크
④ 대표 이미지: ‘네페르티티 흉상’(기원전 14C, 아마르나 시대) — 베를린 신박물관

2) 그리스 고전주의
① c. BC 5–4C, 그리스 폴리스
② 이상적 비례; 콘트라포스토; 대칭·조화; 오더 체계; 해부학 관찰
③ 파르테논, 피디아스 조각, 디스코볼로스
④ 대표 이미지: ‘디스코볼로스(원반던지는 사람)’ — 로마 대리석 복제, 여러 미술관 소장

3) 로마 미술
① c. BC 1–AD 4C, 로마 제국
② 사실 초상; 아치·볼트·돔; 콘크리트; 기념건축; 프로파간다 부조
③ 콜로세움, 판테온, 트라야누스 원주
④ 대표 이미지: ‘판테온 내부 돔(오쿨루스)’ — 로마

4) 초기 기독교 미술
① 3–6C, 로마·비잔틴권
② 카타콤바 상징; 바실리카 평면; 단순 인물; 모자이크 시작
③ 산타 사비나, 라벤나 모자이크
④ 대표 이미지: 라벤나 ‘갈라 플라치디아 영묘’ 모자이크 — 라벤나

5) 비잔틴 미술
① 6–15C, 동로마
② 황금 배경; 전면 아이콘; 영적 비례; 돔+펜던티브; 테셀라
③ 하기아 소피아, 시내산 아이콘
④ 대표 이미지: ‘판토크라토르(전능하신 그리스도) 아이콘’ — 시내산 성 카타리나 수도원

6) 이슬람 장식미술
① 7C–, 중동·안달루시아
② 무상상 경향; 기하 타일링; 아라베스크; 서예; 무카르나스
③ 알함브라, 사마르칸트 타일
④ 대표 이미지: 알함브라 궁 ‘무카르나스’ 천장·타일 패턴 — 그라나다

7) 로마네스크
① 11–12C, 서유럽
② 두꺼운 벽·소창; 반원아치; 순례교회; 문주·주두 조각
③ 생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오탱 성당
④ 대표 이미지: 오탱 성 라자르 성당 서측문 ‘최후의 심판’ 부조(질베르튀스)

8) 고딕
① 12–15C, 프랑스→유럽
② 첨두아치; 리브볼트; 플라잉버트레스; 장미창; 수직성
③ 샤르트르·노트르담, 생트샤펠
④ 대표 이미지: 파리 노트르담 ‘장미창’ 스테인드글라스

9) 국제 고딕
① 14세기 말–15세기 초, 유럽 궁정
② 선적 리듬; 금박·비단 질감; 미세 묘사; 궁정 서사
③ 림부르크 형제, 부르고뉴 궁정
④ 대표 이미지: 림부르크 형제 『아주 귀족한 시절들』 중 ‘5월’

10) 켈트 아트
① 철기–중세, 브리튼·아일랜드
② 매듭·나선·동물 얽힘; 금속 필리그리; 인슐라 장식 필사본
③ 『켈스의 서』, 타라의 브로치
④ 대표 이미지: 『켈스의 서』 카펫 페이지 — 트리니티 칼리지 도서관


2. 르네상스~매너리즘

1) 초기 르네상스
① 15C 초, 피렌체
② 선원근·음영; 인문주의; 자연·해부; 비례모듈; 길드 후원
③ 마사초, 브루넬레스키, 기베르티
④ 대표 이미지: 마사초 ‘성 삼위일체’ — 산타 마리아 노벨라

2) 전성기 르네상스
① 16C 초, 로마·피렌체
② 이상·조화; 피라미달 구도; 스푸마토; 해부학 완성
③ 레오나르도, 라파엘로, 미켈란젤로
④ 대표 이미지: 라파엘로 ‘아테네 학당’ — 바티칸

3) 후기 르네상스(베네치아)
① 16C 중–후, 베네치아
② 색채주의; 대기광; 대형 캔버스; 루미니즘
③ 티치아노, 틴토레토, 베로네제
④ 대표 이미지: 틴토레토 ‘최후의 만찬’(스쿠올라 그란데 디 산 로코)

4) 매너리즘
① 16C 중–후, 이탈리아·프랑스
② 길어진 비례; 인공적 우아; 난해 상징; 불안정 원근
③ 파르미지아니노, 브론치노
④ 대표 이미지: 파르미지아니노 ‘목 긴 성모’ — 우피치

5) 바로크
① 17C, 로마→유럽
② 테네브리즘; 움직임·감정; 사선·타원; 총체예술
③ 카라바조, 베르니니, 루벤스/렘브란트
④ 대표 이미지: 카라바조 ‘성 마태의 소명’ — 산 루이지 데이 프란체시

6) 로코코
① 18C 초·중, 프랑스
② 로카유; 파스텔; 살롱 문화; 친밀한 장면
③ 와토, 부셰, 프라고나르
④ 대표 이미지: 프라고나르 ‘그네’ — 월리스 컬렉션

7) 신고전주의
① 18C 후–19C 초, 프랑스
② 고전 질서; 도덕 교훈; 선명 윤곽; 역사화
③ 다비드, 앵그르
④ 대표 이미지: 다비드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 — 루브르

8) 낭만주의
① 19C 초, 유럽
② 상상·자연 숭배; 주관성; 격정 조명
③ 들라크루아, 터너, 프리드리히
④ 대표 이미지: 들라크루아 ‘민중을 이끄는 자유’ — 루브르

9) 사실주의
① 19C 중, 프랑스
② 현실·노동; 반이상화; 사회비판; 사진 영향
③ 쿠르베, 밀레, 도미에
④ 대표 이미지: 쿠르베 ‘돌깨는 사람들’(파괴됨) / ‘오르낭의 매장’ — 오르세

10) 자연주의
① 19C 후, 유럽
② 과학 관찰; 야외사생; 빛·기상 묘사
③ 바스티앙-르파주, 브르통
④ 대표 이미지: 바스티앙-르파주 ‘잔 다르크’ — 메트로폴리탄


3. 근대 전환기

1) 상징주의
① 19C 말, 프랑스·벨기에
② 내면·신화; 몽환 색; 공감각; 반자연주의
③ 모로, 르동, 클림트(초기)
④ 대표 이미지: 르동 ‘눈을 감은 페가수스(드로잉/파스텔)’ — 오르세

2) 인상주의
① 1870s–80s, 프랑스
② 순간광; 분할붓질; 야외사생; 도시·여가
③ 모네, 르누아르, 드가
④ 대표 이미지: 모네 ‘인상, 해돋이’ — 마르모탕 모네 미술관

3) 후기 인상주의
① 1880s–1900s, 프랑스
② 구조(세잔)·정서(고흐)·상징(고갱); 개인 양식화
③ 세잔, 고흐, 고갱
④ 대표 이미지: 고흐 ‘별이 빛나는 밤’ — MoMA

4) 점묘파
① 1880s, 프랑스
② 광학혼색; 소점 배열; 규범 구성
③ 쇠라, 시냐크
④ 대표 이미지: 쇠라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 시카고미술관

5) 아르누보
① 1890–1910, 유럽
② 유기 곡선; 식물문양; 토탈디자인; 철·유리
③ 무하, 가우디, 오르타
④ 대표 이미지: 무하 포스터 ‘지스몽다’ / 가우디 ‘카사 바트요’ 파사드

6) 아르데코
① 1920–30s, 파리 기원
② 기하·스텝드; 스트림라인; 크롬·라커
③ 크라이슬러 빌딩, 라리크, 에르테
④ 대표 이미지: 크라이슬러 빌딩 첨탑 디테일 — 뉴욕

7) 유겐트슈틸
① 1890s, 독·오스트리아
② 평면화 포스터; 레터링 통합; 곡선/기하 절충
③ 베른하르트, 비어 포스터
④ 대표 이미지: 루트비히 호랑이 맥주 포스터(베른하르트 스타일)

8) 아츠 앤 크래프츠
① 1880–1910, 영국
② 수공예 회복; 도덕성; 텍스타일; 단정 구조
③ 윌리엄 모리스&코, 레드하우스
④ 대표 이미지: 모리스 패턴 ‘스트로베리 시프’(직물)

9) 미션 스타일
① 1890–1915, 미국 서부
② 선교소 모티프; 목재·스투코; 절제된 장식
③ 그린&그린, 크래프츠맨 하우스
④ 대표 이미지: 그린&그린 ‘블랙커 하우스’ 가구 디테일

10) 비엔나 분리파
① 1897–, 오스트리아
② 기하 장식; 예술공방; 흑백+금 대비
③ 클림트, 오토 바그너, 호프만
④ 대표 이미지: 클림트 ‘베토벤 프리즈’ — 분리파 전시관


4. 아방가르드 (Avant-Garde)

1) 입체주의 (Cubism)
① 1907–14, 프랑스 파리
② 다중시점; 형태 분절; 평면성 강조; 분석적·종합적 단계; 콜라주·신문지 활용
③ 피카소 ‘아비뇽의 처녀들’, 브라크 ‘마 델라’
④ 대표 이미지: 피카소 ‘아비뇽의 처녀들’(1907) — 뉴욕 MoMA

2) 미래주의 (Futurism)
① 1909–, 이탈리아
② 속도·기계미 찬양; 시간 연속성; 도시의 역동성; 산업적 낙관
③ 보초니 ‘공간 속의 연속성 있는 형태’, 발라 ‘속도의 추상’
④ 대표 이미지: 보초니 ‘공간 속의 연속성 있는 형태’(1913) — MoMA

3) 다다이즘 (Dadaism)
① 1916–, 스위스 취리히·독일·프랑스
② 반예술; 우연·유희; 레디메이드; 언어 실험; 전통 부정
③ 뒤샹 ‘샘’, 한나 회흐 ‘잘린 눈’
④ 대표 이미지: 뒤샹 ‘샘’(1917) — 필라델피아 미술관

4) 초현실주의 (Surrealism)
① 1920s–, 프랑스 파리
② 무의식·꿈; 자동기술법; 프로이트 영향; 이질적 결합; 충돌 이미지
③ 달리 ‘기억의 지속’, 마그리트 ‘이미지의 배신’
④ 대표 이미지: 살바도르 달리 ‘기억의 지속’(1931) — MoMA

5) 구성주의 (Constructivism)
① 1915–30s, 러시아
② 산업·기계 구조미; 기능주의; 프로파간다 그래픽; 사회주의 미학
③ 타틀린 ‘제3인터내셔널 기념탑’, 로드첸코 포스터
④ 대표 이미지: 타틀린 ‘기념탑 모형’(1919) — 모스크바 트레티야코프

6) 신조형주의 (De Stijl)
① 1917–31, 네덜란드
② 수직/수평; 삼원색; 기하 구성; 보편 질서; 건축과 가구의 통합
③ 몬드리안 ‘빨강·노랑·파랑의 구성’, 리트펠트 ‘슈뢰더 하우스’
④ 대표 이미지: 몬드리안 ‘Composition with Red, Blue and Yellow’(1930) — MoMA

7) 바우하우스 (Bauhaus)
① 1919–33, 독일
② 예술·공예·산업 통합; 기능주의; 표준화; 기초조형교육; 합리주의
③ 그로피우스, 모홀리-너지, 미스 반데어로에
④ 대표 이미지: 바우하우스 데사우 본관(1926) — 독일 데사우

8) 국제주의 양식 (International Style)
① 1930s–, 유럽→세계
② 박스형 볼륨; 장식 제거; 파일럿티; 유리 커튼월; 기능 중심
③ 르코르뷔지에 ‘유니테’, 미스 ‘시그램 빌딩’
④ 대표 이미지: 미스 반 데어 로에 ‘시그램 빌딩’(1958) — 뉴욕

9) 러시아 아방가르드
① 1910–30s, 러시아
② 기하 추상; 실험 타이포; 수프리마티즘; 프로파간다 포스터
③ 말레비치 ‘검은 사각형’, 엘 리시츠키 ‘프로운’
④ 대표 이미지: 말레비치 ‘검은 사각형’(1915) — 트레티야코프 미술관

10) 표현주의 (Expressionism)
① 1905–20s, 독일·오스트리아
② 감정 표현; 색채 왜곡; 불안·고독; 사회비판
③ 키르히너, 칸딘스키, 뭉크
④ 대표 이미지: 뭉크 ‘절규’(1893) — 오슬로 국립미술관


5. 현대 미술과 디자인

1) 추상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
① 1940–50s, 미국
② 액션 페인팅; 즉흥성; 제스처 붓질; 색면 추상
③ 폴록, 드 쿠닝, 로스코
④ 대표 이미지: 잭슨 폴록 ‘No.5, 1948’ — MoMA

2) 앵포르멜 (Art Informel)
① 1940–50s, 유럽
② 비형식·질감 중심; 우연 흔적; 물질성 강조
③ 뒤뷔페, 월스
④ 대표 이미지: 뒤뷔페 ‘Texturologie’ 시리즈 — 파리 퐁피두

3) 타시슴 (Tachisme)
① 1950s, 프랑스
② 얼룩(타시); 즉흥적 붓질; 감성적 추상
③ 미쇼, 하르퉁
④ 대표 이미지: 하르퉁 ‘T1962-R13’ — 파리 국립현대미술관

4) 옵아트 (Op Art)
① 1960s, 영국·미국
② 시각 착시; 반복·대비; 평면의 진동감
③ 바자렐리, 브리지트 라일리
④ 대표 이미지: 바자렐리 ‘Vega-Nor’(1969) — 바자렐리 재단

5) 팝아트 (Pop Art)
① 1950–60s, 영·미
② 대중문화 이미지; 실크스크린; 광고 시각언어 차용
③ 앤디 워홀, 리히텐슈타인
④ 대표 이미지: 워홀 ‘캠벨 수프 캔’(1962) — MoMA

6) 미니멀리즘 (Minimalism)
① 1960s, 미국
② 기하 반복; 산업재료; 비개인성; 객관성
③ 도널드 저드, 카를 안드레
④ 대표 이미지: 저드 ‘Untitled (Stack)’(1967) — MoMA

7) 플럭서스 (Fluxus)
① 1960s, 국제
② 행위·우연; 이벤트 스코어; 반상업; 매체 확장
③ 백남준, 요코 오노, 마치우나스
④ 대표 이미지: 백남준 ‘TV 부처’(1974) — 런던 테이트

8) 모더니즘 (Modernism)
① 20C 전–중반, 서구
② 기능주의; 보편미학; 형식의 경제; 그리드 시스템
③ 르코르뷔지에, 미스, 바우하우스 라인
④ 대표 이미지: 르코르뷔지에 ‘빌라 사보아’(1929) — 푸아시

9)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① 1970–90s, 글로벌
② 역사 인용; 장식 복귀; 아이러니; 패스티시
③ 로버트 벤투리, 마이클 그레이브스
④ 대표 이미지: 벤투리 ‘엄마의 집’(1964) — 필라델피아

10) 하이테크 양식 (High-Tech Style)
① 1970–90s, 영·미
② 구조 노출; 금속·유리; 기계적 미학
③ 노먼 포스터, 리처드 로저스
④ 대표 이미지: 퐁피두 센터(1977) — 파리


6. 건축·디자인 중심

1) 브루탈리즘 (Brutalism)
① 1950–70s, 영·미·동유럽
② 노출 콘크리트; 덩어리감; 사회주택; 기념비성
③ 스미스슨, 코빈, 보스턴 시청
④ 대표 이미지: 보스턴 시청(1968) — 커스, 노울스, 패넬

2) 유토피안 디자인
① 1960–70s, 서유럽
② 메가스트럭처; 이동 도시; 비실현 컨셉; 비판적 상상
③ 아키그램, 수퍼스튜디오
④ 대표 이미지: 아키그램 ‘Plug-In City’ 다이어그램

3) 이탈리아 합리주의
① 1920–30s, 이탈리아
② 기하 구조; 절제된 비례; 모더니즘+전통 결합
③ 그루포 7, 주세페 테라니
④ 대표 이미지: 테라니 ‘카사 델라 파시오네’(1936) — 코모

4) 메타볼리즘 (Metabolism)
① 1960s, 일본
② 성장·교체 가능한 모듈; 캡슐형 구조; 유기적 도시
③ 구로카와, 기쿠타케
④ 대표 이미지: ‘나카긴 캡슐타워’(1972) — 도쿄

5) 팀 10 (Team X)
① 1950–60s, 유럽
② 인간 스케일; 장소성; 클러스터 주거; CIAM 비판
③ 앨리슨&피터 스미스슨
④ 대표 이미지: ‘로빈후드 가든’(1972) — 런던

6) 슈투트가르트 학파
① 1900s–, 독일
② 기능주의 타이포그래피; 그리드; 실용 인쇄 디자인
③ 호흘첼 계보, 울름으로 계승
④ 대표 이미지: 1920년대 기능주의 포스터 예시

7) 울름 조형대학 (HfG Ulm)
① 1953–68, 독일
② 과학적 방법론; 정보디자인; 픽토그램 시스템
③ 오틀 아이콘, 브라운 디자인
④ 대표 이미지: 브라운 라디오 ‘SK4’(디터 람스, 1956)

8) 스칸디나비아 모더니즘
① 1930s–, 북유럽
② 인간공학; 목재 감성; 단순·따뜻함
③ 알바 알토, 야콥센
④ 대표 이미지: 알토 ‘사보이 화병’(1936) — 알토 재단

9) 미드센추리 모던
① 1945–70, 미국
② 신소재(합판·FRP); 대량생산 가구; 경량 구조
③ 이임스, 사리넨
④ 대표 이미지: 이임스 라운지체어(1956) — Vitra

10) 유기적 건축
① 1930s–, 미국
② 자연 조화; 흐르는 평면; 인간 중심 공간
③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알바 알토
④ 대표 이미지: 라이트 ‘낙수장’(1939) — 펜실베이니아


7. 1960~1980

1) 슈퍼그래픽
① 1960–70s, 미국
② 건축 표면 그래픽화; 대형 타이포; 방향성 시각
③ 비냐렐리, 스탠키
④ 대표 이미지: Vignelli 뉴욕 지하철 그래픽 맵(1972)

2) 라디컬 디자인
① 1960–70s, 이탈리아
② 체제비판; 개념가구; 과장·유머
③ 수퍼스튜디오, 아르키주움
④ 대표 이미지: Superstudio ‘Continuous Monument’(1969)

3) 안티디자인
① 1960–70s, 이탈리아
② 기능주의 반항; 키치·컬러 폭발; 감성 중심
③ 가에타노 페세, 알케미아
④ 대표 이미지: Pesce ‘UP5 Chair’(1969) — Cassina

4) 멤피스 그룹
① 1981–87, 밀라노
② 팝컬러; 라미네이트; 포스트모던 유희
③ 소트사스, 알레산드리니
④ 대표 이미지: Sottsass ‘Carlton’ 서가(1981)

5) 알케미아 그룹
① 1976–, 밀라노
② 실험 조형; 오브제 전치; 멤피스 전초
③ 소트사스 ‘바블론’ 조명
④ 대표 이미지: Alchimia ‘Babel Lamp’(1977)

6) 포스트모던 그래픽
① 1970–90s
② 그리드 파괴; 손글씨; 콜라주; 타이포 실험
③ 네빌 브로디, 에이프릴 그리먼
④ 대표 이미지: Brody ‘The Face’ 매거진 커버(1982)

7) 네오익스프레셔니즘
① 1978–, 독·미
② 거친 제스처; 서사 회귀; 물질성
③ 바젤리츠, 키퍼
④ 대표 이미지: Anselm Kiefer ‘Margarethe’(1981) — MoMA

8) 데코스트럭티비즘
① 1980–90s, 건축
② 파편화; 비선형; 표피 해체
③ 프랭크 게리, 자하 하디드
④ 대표 이미지: 게리 ‘빌바오 구겐하임’(1997) — 스페인

9) 컨셉추얼 아트
① 1960–70s
② 개념 우선; 문서·지시문; 반재료성
③ 코수스, 솔 르윗, 오노
④ 대표 이미지: Joseph Kosuth ‘One and Three Chairs’(1965) — MoMA

10) 사이키델릭 아트
① 1960s, 미국·영국
② 환각 색채; 곡선 레터링; 음악포스터
③ 밀턴 글레이저, 필모어 포스터
④ 대표 이미지: Milton Glaser ‘Dylan’ 포스터(1966)


8. 디지털·컨템포러리

1) 디지털 아트
① 1980s–, 전 세계
② 컴퓨터 기반; 스크린·인터랙션; 데이터 비주얼라이제이션
③ 제프리 쇼, 팀랩
④ 대표 이미지: teamLab ‘Universe of Water Particles’(2013)

2) 사이버펑크 미학
① 1980s–
② 네온·도시밀집; 기술+퇴폐; 초현대 누아르
③ 영화 ‘블레이드 러너’, 시로 마사무네
④ 대표 이미지: ‘블레이드 러너’ 네온 시티 씬(1982)

3) Y2K 디자인
① 1998–2005, 2020s 리바이벌
② 젤리·크롬·버블; 미래낙관 GUI
③ 웹1.0 인터페이스, 초기 애플 아이콘
④ 대표 이미지: 2000년대 초 MSN·iMac 광고 비주얼

4) 글리치 미학 (Glitch)
① 2000s–
② 오류·노이즈; 데이터 벤딩; 파손된 시각
③ 로사 멩탄, 글리치 비디오
④ 대표 이미지: 글리치 GIF/비디오 스틸(공유 저작권)

5) 픽셀 아트
① 1980s–
② 격자 표현; 제한 팔레트; 레트로 감성
③ 닌텐도·SNES·인디게임
④ 대표 이미지: ‘슈퍼마리오 브라더스’ 스크린샷(1985)

6) 제너러티브 아트
① 1960s–, 2010s 재부상
② 알고리즘 생성; 규칙·난수; 코드 기반
③ 베라 몰나르, 케이시 리아스
④ 대표 이미지: Art Blocks NFT 컬렉션(2021)

7) 파라메트릭 디자인
① 2000s–, 건축·제품
② 파라메트릭 제어; 곡면; 디지털 제작
③ 자하 하디드, 패트릭 슈마허
④ 대표 이미지: Zaha Hadid ‘Heydar Aliyev Center’(2012)

8) 뉴 브루탈리즘 (웹, New Brutalism)
① 2010s–, 웹·디지털 디자인
② 투박한 그리드·흑백 대비·모노스페이스 폰트·비정형 인터페이스·반(反)미려성 미학
③ 디지털 포트폴리오, 브랜드 랜딩페이지, 실험적 웹디자인
④ 대표 이미지: Brutalist Websites 갤러리(웹 브루탈리즘 사례 아카이브, brutalistwebsites.com) — 투박한 HTML 레이아웃과 흑백 UI 디자인

9) 3D 아트 / CG 그래픽
① 1990s–, 글로벌
② 폴리곤 모델링; 실시간 렌더링; 레이 트레이싱; 가상·영상 융합; 시네마4D·언리얼 활용
③ 픽사 스튜디오, 언리얼 엔진, 모션그래픽 작가들
④ 대표 이미지: 픽사 ‘토이 스토리’(1995) — 세계 최초 풀 3D 애니메이션

10) 포스트인터넷 아트 (Post-Internet Art)
① 2010s–, 글로벌
② 온라인·네트워크 이후 시각성; 밈·스크린문화; 피드 기반 내러티브; 물리+디지털 결합
③ 코리 아칸젤, 아만다 로스-호, 존 라프먼
④ 대표 이미지: 존 라프먼 ‘9 Eyes of Google Street View’(2011) — 인터넷 이미지 재구성 시리즈


9. 지역별 특화 미술 (Regional Art)

1) 일본 우키요에 (Ukiyo-e)
① 17–19C, 에도 일본
② 다색 목판화; 일상·배우·풍경 묘사; 평면 컬러·강한 윤곽선; 대중 인쇄 미학
③ 호쿠사이, 히로시게, 우타마로
④ 대표 이미지: 호쿠사이 ‘가나가와의 거대한 파도’(1831) — 도쿄 국립박물관

2) 일본 모던 (쇼와 모던)
① 1920–30s, 일본
② 아르데코+일본 감성 융합; 근대 여성상·도시문화 표현; 포스터·패키지 혁신
③ 다카라즈카 포스터, 카와카미 타이포그래피
④ 대표 이미지: 1930년대 쇼와 모던 패션 포스터 — 교토 국립근대미술관

3) 한국 민화 (Minhwa)
① 조선 후기–근대 초, 한반도
② 길상 상징화; 자유 구도·자유 채색; 서민 미감; 생활공예적 미술
③ 책가도, 호작도, 화조도
④ 대표 이미지: ‘책가도’ 8폭 병풍 — 국립중앙박물관

4) 단색화 (Dansaekhwa)
① 1970s, 대한민국
② 반복적 행위; 여백·질감·물질성; 수행성 강조; 종이·마포 재료 중심
③ 박서보, 윤형근, 이우환
④ 대표 이미지: 박서보 ‘묘법 No.4-72’(1972) — 국립현대미술관

5) 중국 문인화 (Literati Painting)
① 송–청–명–청, 중국
② 시·서·화 일치; 먹의 농담; 여백·운필 중심; 감정·사상 표현
③ 동기창, 팔대산인, 석도
④ 대표 이미지: 동기창 ‘고산입운도’ — 베이징 고궁박물원

6) 이슬람 모자이크 (Islamic Mosaic)
① 8–16C, 중동·북아프리카
② 기하·대칭·아라베스크; 타일 인레이; 서예 문양; 무한 반복미
③ 이스파한 모스크, 페즈 타일
④ 대표 이미지: 이스파한 이맘모스크 돔 타일 장식 — 이란

7) 마야 아트 (Maya Art)
① 250–900, 메소아메리카
② 신화·의례적 부조; 상형문자; 건축·조각 융합; 다색 벽화
③ 팔렝케, 치첸이사, 코판
④ 대표 이미지: 팔렝케 ‘왕의 사당 부조’ — 멕시코 국립인류학박물관

8) 아프리카 토속미술 (African Tribal Art)
① 사헬~중앙·서아프리카
② 가면·목조·청동; 의례 중심; 인체 추상화; 상징적 비율
③ 요루바, 도곤, 베냉 왕국
④ 대표 이미지: 베냉 청동 머리 조각(16세기) — 영국박물관

9) 네이티브 아메리칸 아트 (Native American Art)
① 북미 원주민
② 토템·직물·구슬공예; 자연·동물 상징; 공동체 예술
③ 나바호 직조, 하이다 토템
④ 대표 이미지: 하이다족 토템폴 — 브리티시컬럼비아 박물관

10) 오세아니아 아트 (Oceanian Art)
① 폴리네시아·멜라네시아·마오리
② 목조·타파·문신 문화; 상징 체계; 영적 도상
③ 마오리 카빙, 아보리진 도트 페인팅
④ 대표 이미지: 호주 아보리진 ‘Dot Painting’(현대작) — 시드니 현대미술관


10. 최근 경향 (Contemporary & Future Design)

1) 지속가능 디자인 (Sustainable Design)
① 2000s–, 글로벌
② LCA·순환성·저탄소 재료; 재사용·모듈성; 장수명 설계; 친환경 인증
③ C2C, 파타고니아 리페어, 무지·이케아 순환 라인
④ 대표 이미지: 파타고니아 수선 프로그램 광고(2022) — Patagonia

2) 에코 디자인 (Eco Design)
① 1990s–
② 생분해 재료; 저에너지 생산; 자연 순환 구조; 에너지 절감 포장
③ 바이오플라스틱 패키지, 노르딕 가구
④ 대표 이미지: IKEA ‘ODGER Chair’(재활용 플라스틱)

3) 소셜 디자인 (Social Design)
① 2000s–
② 사회문제 해결; 공공서비스 개선; 코크리에이션; 지역 참여
③ IDEO.org, 헬싱키 디자인랩
④ 대표 이미지: IDEO.org ‘Clean Team Project’(가나 화장실 디자인)

4) 바이오 디자인 (Bio Design)
① 2010s–, 글로벌
② 생물소재 활용; 성장형 제품; 합성생물학 디자인; 윤리·환경 논의
③ 마이셀리움 가구, 바이오레더 패션
④ 대표 이미지: Mycelium Chair(2017, Erik Klarenbeek)

5) UX/UI 무브먼트
① 2010s–, 글로벌
② 사용자 중심; 프로토타이핑; 접근성; 디자인 시스템화
③ 구글 머티리얼 디자인, 애플 HIG
④ 대표 이미지: Google Material 3 시스템(2023) — design.google

6) 인터랙션 디자인 (Interaction Design)
① 2000s–
② 피드백·가시성; 행태 기반 UI; 마이크로인터랙션; 감성 UX
③ 도널드 노먼, 애플·닌텐도 인터페이스
④ 대표 이미지: Apple iOS 제스처 인터랙션 모션 가이드

7) 크리티컬 디자인 (Critical Design)
① 2000s–, RCA
② 사회적 질문 제기; 상상 오브제; 비판적 서사; 논쟁 유도
③ Dunne & Raby, “Design Noir” 프로젝트
④ 대표 이미지: Dunne & Raby ‘Technological Dream Series’(2007)

8)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 (Speculative Design)
① 2010s–
② 미래 시나리오; 가상 정책 디자인; 윤리적 실험; 비평적 상상
③ Superflux, Near Future Laboratory
④ 대표 이미지: Superflux ‘Mitigation of Shock’(2019) — 런던 디자인 뮤지엄

9) 메타버스 아트 (Metaverse Art)
① 2020s–
② 가상공간 창작; 디지털 자산; 아바타 퍼포먼스; 실시간 전시
③ 디센트럴랜드, 크립토복셀스, VRChat 아트
④ 대표 이미지: Metaverse Art Gallery 전경(Decentraland, 2022)

10) AI 아트 (AI Art)
① 2016–, 글로벌
② 생성 모델(GAN·Diffusion); 프롬프트 디자인; 인간-AI 협업; 윤리 논의
③ Refik Anadol, Obvious Collective, Midjourney
④ 대표 이미지: Refik Anadol ‘Machine Hallucinations’(2020) — MoMA 전시

 

반응형